학술정보원 100% 활용하기
똑똑한 학술정보 이용법
학술정보원의 이용자가 리모델링 이후 급증했다. 그러나 많은 교내 구성원이 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연구학습 지원 서비스’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학술정보원에 방문해 연구학습 지원 서비스를 100%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들어봤다.

▲학술정보원

▲학술정보원 내부 사진
Q. 학술정보원의 연구학습 지원 서비스는 무엇인가?
A. 연구학습 지원 서비스는 학습 및 연구에 필요한 주요 학술 정보 자원을 선별해 제공하는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학과별 학습 정보 서비스와 연구논문 작성 지원 서비스, 교양교과 학습 지원 서비스, 학술정보원 이용 안내로 구성돼 있다.
Q. 학과별 학습 정보 서비스는 무엇인가?
A. 학과별 학습 정보 서비스는 단행본, 저널, 데이터베이스, 학위논문, 공개 강의, 학회 및 관련 기관 정보 등 학습 및 연구를 시작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학술 정보를 학과별로 모아서 제공하는 맞춤형 정보 서비스이다.
Q. 연구논문 작성 지원 서비스는 무엇인가?
A. 연구논문 작성 지원 서비스는 학위논문 검색부터 학위논문 작성, 저널 평가 및 등재 방법, 저널 논문 투고와 출판 방법까지 연구 및 논문 작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연구의 전 주기에 맞춰 필요한 정보를 큐레이션하여 제공하고 있다.
Q. 논문을 준비 중인 대학원생과 연구자들이 참조할 수 있는 논문 작성 지원 가이드도 있다고 들었다. 자세한 설명 부탁한다.
A. 연구논문 작성 지원 서비스는 △본교 학위논문, 국내·외 학위논문 검색 방법, 학위논문 작성법, 학위논문 작성 형식, 학위논문 제출 절차 등을 안내하는 학위논문 이용 및 작성 가이드 △JIF, JCI, Eigenfactor Score, AI Score, Immediacy Index, CiteScore, SJR, SNIP, FWCI, KCI, H-index 등 지표를 안내하는 저널·연구 영향력 지표 가이드 △WOS, Scopus, KCI 평가 및 등재 절차를 안내하는 저널 평가 및 등재 절차 가이드 △연구 분야 저널 찾기, 저널 순위 및 영향력 확인, 부실 저널 피하기, 출판 저널 선택, 논문 투고, 논문 홍보, 연구 윤리, 저작권 등을 안내하는 논문 투고와 출판 가이드 △오픈액세스 개념, DOAJ 등재 방법, 오픈액세스 전환 등을 안내하는 오픈액세스 출판 가이드 △통계 분석에 필요한 주요 소프트웨어 소개, 온라인 통계 분석, 참고 사이트, 주요 통계 분석 방법 등을 안내하는 통계 분석 소프트웨어 가이드 △생성형 AI 교수·학습 기본 활용과 관련한 본교와 한국연구재단 권고 사항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돼 있다.
Q. 교양교과 학습 지원 서비스는 무엇인가?
A. 교양교과 학습 지원 서비스는 코딩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과 비전공자들에게 수업과 학습에 참고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코딩 학습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우선,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념,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개, 역사, 장단점, 활용 분야, 추천 도서 등을 안내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기초 교양 과목인 C언어와 파이썬을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님의 감수 아래 수업계획서에 맞춰 가이드로 제작했다.
Q.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가이드도 있는가?
A. 최근 학술정보원 이용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외국인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학과별 학습 정보 서비스의 영문 가이드를 제작해 2024년 2학기부터 서비스하고 있다. 학과별 학습 정보뿐만 아니라 학술정보원 시설 이용 안내도 영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확대할 예정이다.
Q. 이 밖에도 학생들이 놓치고 있는 학술정보원 혜택이 있다면?
A. 학술정보원에서는 학생들의 학술 정보 검색과 활용 능력 함양을 위해 전자정보 및 주요 해외 데이터베이스 이용 방법 등을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으로 학기 중에 매월 개최하고 있다. 또한, EndNote, ProQuest, EBSCO, KSDC 등의 활용법을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하고 있다. 많은 참여를 부탁한다.